데이터 시오 2024. 5. 15. 20:56
728x90
반응형

목차

1. 추정의 이해

2. 모평균의 점추정

3. 모평균의 구간추정


1. 추정의 이해

통계적 추론 

통계적 추론 : 표본의 관측값(데이터)으로 모집단의 모수를 추측, 판단하는 방법

==> 통계적 사고

 

통계적 추론은 추정(추측)과 검정(판단)

추정 : 점추정(point estimation), 구간추정(interval estimation)

추정의 예 : 여론조사

검정의 예 : 비타민 c의 감기예방효과

 

모집단 population - 알고 싶은 모든 개체의 집합

표본 sample - 모집단의 일부 : 임의 추출해서 모집단을 대표

 

확률변수 random variable - 모집단 특성 나타내는 변수 --> 불확실(확률분포)

확률변수와 데이터(꽌측값)

 

확률분포 - 몇 개 모수를 가지는 수리적 함수

확률변수의 분포 아는 것 - 모수를 아는 것

확률변수의 모수

   1. 이항분포 : 모비율  𝐵(𝑛,𝑝)

   2. 정규분포 : 모평균관 모분산 𝑁(𝜇,𝜎^2)

 

표본(확률변수)으로 모집단의 모수를 추측
모수는 고정된 상수이지만 알 수 없다고 가정

 

통계량 (statistic) : 표본 확률변수의 함수
모수를 추정하기 위한 도구 → 추정량
표본분포 (sampling distribution) : 통계량의 분포
추정값 : 추정량 수식 에 관측값 데이터 를 대입

 

모집단에서 표본 :  𝑋1,𝑋2,⋯,𝑋𝑛~𝑁(𝜇,𝜎^2)

통계량(추정량)


2. 모평균의 추정

표본평균의 특성

표본평균은 모평균의 불편추정량

표본평균의 분산은 표본수가 커지면서 작아진다. 

 

중심극한정리 - 표본평균은 표본 수가 커지면서 모집단 분포와 관계없이 정규분포를 따른다 

 


3. 모평균의 구간추정 

신뢰수준이 클수록 신뢰구간에 모평균 포함될 가능성이 증가한다

신뢰수준 - 무한히 반복해서 구한 신뢰구간 중에서 모평균이 포함된 비율이다. 


1. 추정과 통계량

통계적 추정이란 모집단의 특성을 나타내는 모수(parameter)를 표본(sample) 데이터를 사용하여 추정하는 과정

2. 모비율의 추정

비율 추정이 중요하다 - 지지율, 불량률, 실업률

3. 모분산의 추정

모분산의 분산 추정 - 제품의 품질, 금융시장 변동성 등 파악에 이용

 

 

 

 

728x90